지도와 나침반/그 곳

조선시대 유교 교육기관, 과천향교

난짬뽕 2025. 4. 22. 10:52
728x90
반응형

과천향교는 1398년 조선 태조 7년에 관악산 기슭에 창건되었다고 합니다. 1402년 태종 2년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410년에 재건되었지만, 임진왜란 때 다시 소실된 것을 1600년 선조 33년에 중건하였으며, 1636년 인조 14년에 병자호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39년에 중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과천향교 개방시간
  • 여름철(3월-10월): 10:00 ~ 17:00
  • 겨울철(11월-2월): 10:00 ~ 16:00
  • 매주 월요일은 개방하지 않습니다.
  • 단체 관람 예약 문의: 02 502 2944 

 

과천향교의 본래 위치는 과천 동북쪽 2리였다고 하는데요. 1690년 숙종 16년에 현감 황이명이 유생들의 교육과 과거급제에 보다 좋은 자리로 여겨 과천 서이면에서 이곳 현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합니다. 

 

향교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 교육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합니다. 

양민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으며, 유생들은 시와 문장을 짓고 유학의 경전 및 역사를 주로 공부하였습니다. 또한 향교에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1944년 시흥향교, 과천향교, 안산향교를 과천향교로 통합하였으며, 1959년 명칭을 시흥향교로 개정하였다가 1996년 과천향교로 복원하였다고 하네요. 

 

1899년에 발간된 <과천군읍지>에 따르면 당시 규모는 대성전 6칸, 명륜당 10칸, 동서재, 전사청, 고사 등 모두 24칸이라 기록되어 있습니다. 

 

과천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되어 있는데요. 조선시대 과천 지역에 거주하던 유생들의 정치 이념과 학문적 성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교문화재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당시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치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의 중심 역할을 하였는데요.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습니다. 

 

본래 과천향교의 관할구역은 과천, 안양, 시흥, 광명, 의왕, 안산에 걸쳐 있었다고 합니다. 

 

봄가을의 상정일에 거행하는 '석전제'는 향교의 제향 중에서 가장 중시되는 것이라고 하네요. 석전제 행사에는 과천시에 거주하는 전교뿐 아니라 인근의 유림들도 찾아온다고 합니다. 

 

현재의 과천향교 건물은 홍일문, 외삼문, 명륜당, 내삼문, 대성전 등이 일축선상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남편과 함께 관악산에 올랐다가 과천으로 내려오는 길에 과천향교를 둘러보게 되었는데요. 관악산 산행 후 과천향교를 천천히 둘러보며, 조선시대 유교 교육기관의 모습과 의미를 만나보셔도 좋으실 것 같습니다. 

 

인왕산 수성동계곡 치마바위 코스, 옛 이야기에 젖어 걸음을 멈추게 됩니다

 

인왕산 수성동계곡 치마바위 코스, 옛 이야기에 젖어 걸음을 멈추게 됩니다

인왕산 수성동계곡 치마바위 코스 이동경로: 수성동계곡 - 석굴암 - 인왕천약수터 - 인왕산 정상 이동거리: 1.38km 소요시간: 1시간 26분 난이도: 중 수성동계곡(29분/보통) - 석굴암(19분/보통) - 인왕

breezehu.tistory.com

인왕산 등산 선바위 코스 : 기암괴석의 비경을 벗 삼아 동행하는

 

인왕산 등산 선바위 코스 : 기암괴석의 비경을 벗 삼아 동행하는

기암괴석의 비경을 벗 삼아 동행하는 인왕산 선바위 코스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왕산의 유명한 바위들을 모두 만날 수 있는 정통 코스이다. 선바위와 범바위, 해골바위, 삿갓바

breezehu.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