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모든 아름다움/책

삼국의 역사를 말하는 진정한 맞수, 삼국사기 vs 삼국유사

난짬뽕 2021. 5. 21. 17:24
728x90
반응형

 

삼국의 역사를 말하는 진정한 맞수

삼국사기 vs 삼국유사

 

 

삼국의 역사를 전해주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언제나 서로 대비되는 진정한 맞수다. 전자의 저자인 김부식이 후자를 쓴 일연보다 130년 정도 전의 사람으로, 그들은 동시대의 인물이 아니었으며, 당연히 책을 엮은 시기도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삼국사기>를 떠올리면 <삼국유사>가 생각나고, 김부식을 말하고자 할 때는 일연까지 함께 언급된다. 

 

 

역사서의 라이벌, 언제나 서로 대비되다

근엄한 풍채가 상상되는 유학자 김부식과 민중과 함께 생활하는 괴짜였을 것 같은 승려 일연. 이 두 사람에 대한 인상이 판이하게 다른 것처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내용 역시 대비된다. 

사대적 역사인식과 자주적 역사인식, 유가적 내용과 불교적 내용, 정사와 야사, 사대부적 내용과 서민적 내용 등 두 권의 책 전반에 흐르는 뼈대가 매우 다르다. 실제로 <삼국유사>는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고의로 빠뜨렸거나 누락된 여러 종류의 이야기들을 찾아 수록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삼국사기>가 국가사 내지는 왕조사 중심이라면, <삼국유사>는 불교라는 종교와 신앙을 중심으로 쓰인 역사서다. 김부식은 문헌을 중심으로 <삼국사기>를 저술했지만, 일연은 이와는 달리 문헌 이외에도 설화까지 자료로 활용하여 있는 그대로의 원문을 책에 실었다. 그래서 <삼국유사>에서는 고대사의 생생한 모습이나 그 원형을 보다 잘 보여주고 있다. 

 

삼국사기의 '사(史)'와 삼국유사의 '사(事)'가 다르다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우리의 역사가 중국의 책에 실려 있기는 하지만 그 분량이 너무 적었기 때문이었으며, 또 하나는 전래의 <삼국사>가 후세 사람들이 권계로 삼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에 유가적 역사관을 갖고 있던 그는 편찬 태도와 서술 체제까지도 모두 중국의 것을 받아들였는데, 사마천의 <사기>가 바로 그것이다. 실제로 <사기>에서 마련된 체제에 의거하여 삼국의 역사를 본기, 연표, 잡지, 열전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에 반해 일연의 사고관은 중국 중심에 서 있지 않았다. <삼국유사>의 첫머리에 단군조선을 실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무신 정권기와 몽고 전란기를 헤쳐가면서 힘없는 자의 설움을 당했던 그는 민족의 자존을 염두에 두었던 것이다. 그래서 <삼국유사>의 성격은 역사서인 동시에 소박한 고대의 신화와 전설을 다수 담고 있다. 

 

여성을 바라보는 두 권의 상이한 시선

두 권의 역사서에서 또 하나의 흥미로운 점은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는 것이다. <삼국사기>에 이름이 소개된 여성은 지극히 극소수다. 또 이름 자체보다는 누구의 딸이나 아내 등, 가족의 이름으로 불렸다. 이러한 이유는 <삼국사기>가 일반 사람들의 생활상을 소개하기보다는 위업을 이룩한 명장과 학문으로 이름을 날린 문인과 학자, 충신 등 후대에 자료로 삼을 만한 사람들을 김부식이 선별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에 소개된 여성의 이름은 고작 효녀 지은, 도미 처, 설씨녀 등에 불과한데, 그 행적 역시 매우 축소하거나 지워버렸다. 

예를 들어 남편에 대한 절의를 지켜 유명한 도미 처의 경우, 개루왕이 자신의 신하를 왕으로 꾸며 도미 처를 시험해 보려 했을 때의 도미 처의 반응은 생략해 버렸다. 또 가난한 청년 가실과 맺은 혼약을 지켜내기 위해 힘겨운 세월을 지켜낸 설씨녀가 약혼자에 대한 신의를 지키기 위해 부친의 강압으로부터 탈주하는 과정을 생략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김부식이 그들을 한 치의 흔들림도 없는 완벽한 여성으로 만들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역사서에 실어 후세가 교훈을 삼을 만한 대상은 어느 부분에서도 부족함이 보여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삼국유사> 속 여성의 모습은 어떠한가? 물론 <삼국사기>의 여성에 비해 신분과 모습이 다양하다. 그 형태도 가족의 일원이 아니라, 독자적이며 구체적이다. 광덕의 처, 선도성모, 김현이 만난 호녀 등 표현도 다채롭다. 고단한 부부의 행로를 끝내자는 선언의 주체가 여성이기도 하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아픔으로 죽어가는 쪽이 남성인 이야기도 소개된다. 물론 일연은 승려였기 때문에 <삼국유사>에 소개된 여성들의 이야기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불교적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모습이 엿보인다. 

 

어쨌든 모든 면에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서로 다른 색깔을 비춰내고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어느 한쪽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관을 가져서는 안 된다. 삼국의 역사를 서로 다른 시각으로 기록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후세에게 다양한 안목을 선사해준 두 권의 책은 함께 존재하여 그 빛이 더욱 찬란한, 아름다운 맞수이다. 

 

글은 나 자신과의 투쟁이다, 김영하

 

글은 나 자신과의 투쟁이다, 김영하

어느 시대에나 있어 새로운 것에 대한 수용은 곧 인식의 낯섦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접근은 절대 이해할 수 없다는 무비판적인 거부의사와 더불어 어느 정도의 공존을 허용하

breezehu.tistory.com

파벽에 반사된 고독한 질주 / 이상

 

파벽에 반사된 고독한 질주 / 이상

파벽에 반사된 고독한 질주 이상 28년이라는 그리 길지 않은 그의 발자취를 더듬으며, 나의 회상은 멈추어져 있다. 스스로를 직시하고자 하는 허울만으로의 진실조차도, 더욱이 세상을 이탈하고

breezehu.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