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동, 방귀 소년
- 지은이: 윤수란
- 그린이: 이갑규
- 초판 1쇄 발행일: 2024년 6월 10일
- 펴낸곳: 이지북
"어제 서울의 한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느닷없이 5교시에 모든 학생이 동시에 정신을 잃은 것입니다. 지금 저는 사건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이제 이야기해 줄게. 우리 가문의 비밀 말이야."
초강력 슈퍼 방귀 능력을 지닌 주인공의 유쾌한 성장기
친가의 가훈은 '공공장소 방귀 금지', 외가의 가훈은 '방귀 사용 정의롭게'. 남들에게 없는 특별한 능력을 안고 태어난 기원에게 아빠와 엄마는 가문의 비밀을 남들에게 드러내지 않은 채 생활하도록 당부한다.
그러나 자신도 모르게 학교에서 그 능력을 발산해 버리는 사건이 터지게 된다. 그날 이후로 방귀 조절 훈련에 들어가게 된 주인공.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나는 방귀를 조절할 수 있다"를 열 번 외치고, 아침저녁으로 아랫배와 항문에 힘주기를 삼십 번씩 하고, 온종일 방귀를 참은 채 밤 9시 이후 집에서만 방귀를 발사하고, 잠자기 전에 "방귀 사용은 정의롭게"를 열 번 쓰는 등의 연습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종종 방귀의 위력을 보여줘야 할 상황들이 닥치고, 그러한 위기 앞에서 기원은 친구들과 함께 우정을 나누며 정의를 향해 모험을 펼쳐 나간다.
윤수란 작가는 현직 중학교 교사라고 한다. 작가의 세 번째 창작동화인 <출동, 방귀 소년>을 읽으면서, 몇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팡팡 웃음이 터져 나왔다. 소심했던 주인공 기원이가 방귀라는 신비한 능력을 스스로 인정하면서 맑고 건강하게 성장해 나가는 모습이 참으로 흐뭇하게 느껴졌다. 기원이와 함께하는 친구들 역시 모두들 성격이 좋다.
지루하지 않으면서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어린이 도서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 마무리에서 시즌 2가 나올 암시를 하고 있어 기대된다. 그때에는 기원의 친구인 정의의 이야기로 전개될 것 같다.
이 책 <출동, 방귀 소년>은 책 읽기를 시작하는 초등 저학년과 자신만의 독서 취향을 쌓아가는 초등 중학년을 위한 어린이 동화 시리즈인 샤미의 책놀이터의 일곱 번째 작품이다. 좋은 어린이 도서는 어른이 읽어도 지루하지 않고 재밌다. 무엇보다도 순수하게 마음껏 웃을 수 있어 참 좋은 것 같다.

초등 교과 연계
3학년 1학기 국어: 1. 재미가 톡톡톡 / 10. 문학의 향기
3학년 2학기 국어: 4. 감동을 나타내요 / 6. 마음을 담아 글을 써요
4학년 1학기 도덕: 1. 생각과 느낌을 나누어요
4학년 2학기 국어: 4. 이야기 속 세상
글쓴이 윤수란
하루는 할머니가 된 나를 상상하고, 하루는 일곱 살이었던 나를 기억하면서 책을 읽고 이야기를 짓고 있다. 「어린이와 문학」에 동화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출판놀이 창작실험실 1회 공모전에 당선되었고, 아르코 문학나눔과 경기문화재단 출간지원 공모에 선정되었다. 지은 책으로 동화 <두근두근 두뇌성형 프로젝트>, <흰 머리 아이 천백모>, 그림책 <언니를 만나는 밤> 등이 있다.

<순재와 키완>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인간다움에 대하여
<순재와 키완>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인간다움에 대하여
순재와 키완 두 아이가 만난 괴물에 대한 기록 제1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글쓴이: 오하림 그린이: 애슝 1판 1쇄: 2018년 11월 15일 펴낸곳: (주)문학동네 우리들이 품고 있는 '괴물'은 무엇일
breezehu.tistory.com
<잔소리 없는 날>, 평범한 가족의 유쾌한 소동극
잔소리 없는 날 지은이: 안네마리 노르덴 그린이: 원유미 옮긴이: 배정희 펴낸곳: (주)푸른책들 초판 1쇄: 2004년 10월 20일 임프린트: 보물창고 단 하루만이라도 제 맘대로 하게 내버려 두셨으면 좋
breezehu.tistory.com
천 원의 행복, 작지만 크다
천 원의 행복, 작지만 크다 은 4편의 단편 동화 모음집으로, 이제 막 책 읽기에 재미를 느끼는 초등학교 1, 2, 3학년 어린이들의 다정한 친구가 되고자 하는 채우리의 저학년 문고 시리즈 중 한 권
breezehu.tistory.com
'그 모든 아름다움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마와 함께 춤을>, 시기와 질투 분노는 어떻게 삶의 거름이 되는가 (47) | 2025.03.20 |
---|---|
<행동하지 않으면 인생은 바뀌지 않는다>, 아주 작은 실행의 힘 (63) | 2025.03.19 |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한 법의학자가 깨달은 삶의 철학 (49) | 2025.03.05 |
한강 <채식주의자>, 존엄한 인간 본연의 정체성에 대한 폭력과 고통들 (46) | 2025.02.22 |
한강 <희랍어 시간>, 철학책을 읽는 듯한 삶의 문제의식들에 대한 질문들 (45)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