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 지은이: 심채경
- 펴낸곳: (주)문학동네
- 1판 1쇄 2021년 2월 22일
천문학자 심채경 박사의 인생 이야기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천문학자이자 행성과학자인 심채경 박사가 쓴 책이다. 오랜만에 별과 달, 우주와 관련된 글을 만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집 앞 소나무도서관에서 이 책을 빌려왔다. 그런데 책장을 펼치는 순간,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이 책은 과학도서라기보다는 에세이집에 가까웠다.
책은 모두 네 갈래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대학의 비정규직 행성과학자 / 2부, 이과형 인간입니다 / 3부, 아주 짧은 천문학 수업 / 4부, 우리는 모두 태양계 사람들. 신비로운 우주이야기를 기대했다면,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펼치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지만, 이 책은 이름도 어려운 과학용어들의 나열이 아닌 쉽게 읽어 내려갈 수 있는 에세이에 가까워서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심채경 박사의 어린 시절과 학교 생활, 대학 전공을 선택하게 된 계기, 대학원 생활, 박사가 된 과정, 아이를 둔 일하는 엄마의 고충, 아이들과의 에피소드 등에 관한 내용이 천문학에 관한 이야기들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마도 심채경 박사의 이름을 알고 계신 분들도 많을 것 같다. 얼마 전 '알쓸인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인간 잡학사전)'이라는 TV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지은이 심채경: 천문학자. 행성과학자.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우주탐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모두 마치고 박사후연구원, 학술연구교수로 신분을 바꿔가며 20여 년간 목성과 토성과 혜성과 타이탄과 성간과 달과 수성을 누볐다. 현재는 한국천문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겨 달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2019년 {네이처}가 달 착륙 50주년을 맞아 미래의 달 과학을 이끌어갈 차세대 과학자로 지목했다. 언제 회신될지 모를 신호를 우주에 흘려보내며 온 우주에는 과연 '우리뿐인가'를 깊이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과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 자연 그리고 우주를 동경한다.
아주 짧은 천문학 수업
종교나 점성술, 농경에 필요한 달력 계산을 벗어나 천문학이 보다 학문적인 형태를 갖춘 것은 그리스시대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인들은 자연을 인위적으로 좌지우지할 수 없는 대상으로 보고, 천체의 움직임 또한 자연의 일부로 생각했다. 고대인들이 남겨둔 방대한 관측자료도 자연 관찰 기록으로 보고 수용, 보완해나갔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원과 구를 특별한 것으로 취급했는데, 여기에 더해 플라톤은 하늘에 있는 천체들이 그 특별한 구형이며, 이들이 커다란 원 위에서 나름의 질서를 가지고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그 중심에는 지구가 있고, 다른 천체들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것이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보편적인 생각이었다. 이에 천체를 관측하는 도구도 제작되고, 별의 목록도 발간되는 등 체계적인 관측이 이루어졌다. 수학의 위상도 높아짐에 따라 행성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p 198
동양에 살던 옛사람들도 별을 보았다. 가장 오래된 기록을 꼽는다면 고인돌을 들 수 있다. 고인돌의 덮개돌에 송송 새겨진 작은 홈은 우연히 생긴 것이 아니라 고대의 별자리를 인위적으로 표시해놓은 흔적이다. 별의 위치는 물론이고 홈의 크기를 조절해 밝고 어두운 별을 구분해놓았다. 은하수를 표시한 것도 발견된다. 제작 시기가 청동기나 후기 신석기까지 거슬러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도 여럿 있다고 하니, 인류가 오래전부터 별을 깊이 관찰해왔다는 점에는 동서양의 차이가 없다. p 208
천문학에 있어 동서양의 가장 큰 차이는 주제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서양은 개개인이 관측하고 기록을 남긴 데 반해, 동양, 특히 우리의 천문 관측과 기록은 국가가 주도했다. 그래서 천문 기록이 역사서 속에 등장한다. p 213
우주의 이해
심채경 박사가 대학에서 '우주의 이해'라는 이름으로 교양 강의를 맡은 첫날, 그녀는 학생들이 천문학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퀴즈를 냈다. 정답이 있는 문제도 있고, 없는 문제도 있다. 여러분들도 한번 풀어보시면 재밌을 것 같다.
Q: '유니버스' '코스모스' '스페이스'는 모두 우리말로 '우주'라고 번역된다. 무엇이 서로 다른가? 각 단어를 어디에서 들어보았는가?
Q: 한때 "00을 '안드로메다'로 보낸다"라는 표현이 유행했다. 안드로메다는 무엇인가? 우리는 왜 많은 것을 거기로 보내는가?
Q: 서양 역사에서 지동설을 주장하다 죽을 뻔한 사람은 누구인가? 그는 왜 비난받았나? 오늘날 그의 주장은 옳았던 것으로 평가되는가?
Q: 다음 중 본인의 생일에 호주에 놀러 가서 볼 수 있는 별자리를 모두 고르면? a. 북두칠성 b. 남십자성 c. 내 생일 별자리('모두'에 속으시면 안 돼요. 답은 하나입니다. ㅎ)
Q: 외계인은 존재하는가? 그 증거는? 실존한다면, 그들이 지구 혹은 우리 인류를 찾아오는 것은 당연한가?
Q: 블랙홀은 관측할 수 있는가? 방법은?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과학책이 갖는 있는 '딱딱하고 어렵다'는 선입견을 입고 있지 않다. 우리들의 평범한 일상 속에서 별을 보지 않는 천문학자가 어떻게 생활하는지를 옆사람에게 말해주듯 소곤소곤 건네는 귓속말 같은 느낌이 든다. 그렇다고 하여 책 속에서 과학의 요소와 의미들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책과 드라마, 영화 속에 비친 달과 별, 우주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 책은 에세이의 모자를 쓴 과학책이다.
▶ 달과 별의 이야기 ◀
'그 모든 아름다움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하 산문 <상관없는 거 아닌가?>, 보통의 다름을 받아들일 때 (70) | 2023.07.05 |
---|---|
최진영 소설 <구의 증명>, 내가 본 마지막 세상은 너여야 했다 (81) | 2023.07.03 |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아픔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방식들에 대하여 (75) | 2023.06.24 |
당신은 어떤 가면을 쓰고 있나요, 마음 가면을 벗고 나답게 사는 심리 처방전 (90) | 2023.06.22 |
[체리새우 : 비밀글입니다] 문학동네 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 (66) | 2023.06.19 |